식품과 영양소

유비퀴논 vs. 유비퀴놀, 뭐가 더 좋을까?

긍정닥터 이경실 2022. 10. 26. 11:22

코엔자임 Q10이 도움이 되는 분들이 많이 있는데요, 환원형인 유비퀴놀이 더 좋다는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과연 그런 것인지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결론부터

소프트젤 타입의 유비퀴논이면 충분하다. 
유비퀴놀은 산업적으로 보았을 때 비용과 노력이 많이 필요합니다. 일단 독점사가 있어 원가가 비싸고, 보관도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또 우리나라에서는 유비퀴놀을 소구력 있게 표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생화학적인 측면에서 좀 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들이 있어 유비퀴놀에 대한 열망이 생기게 됩니다. 하지만 임상적으로 소프트젤 타입의 유비퀴논과 유비퀴놀의 생체이용률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습니다. 

 

임상적인 측면에서 고려

21명의 65-74세 남자 성인을 대상으로 유비퀴놀과 유비퀴논의 생체이용률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한 임상시험 연구에서 유비퀴놀과 유비퀴논 복용 후 유비퀴놀의 혈중 농도에는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1]. 이 연구는 대상자 수가 적지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기 때문에 의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생체이용률의 차이를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젤 타입의 유비퀴논과 유비퀴놀이 동등하게 높았습니다 [2]. 즉, 소프트젤-유비퀴논과 유비퀴놀은 생체이용률이 비슷하다는 이야기입니다. 


과거 유비퀴놀이 유비퀴논에 비해 더 효과적이라는 연구 대부분은 유비퀴놀 제형이 다양하지 않던 시절에 수행된 것입니다. 즉, 당시에는 지방에 용해된 유비퀴논 제형에 대한 비교가 아니라 분말형태의 유비퀴논과 비교하였습니다 [3]. 또한 유비퀴놀이 더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보여주는 연구 대부분은 전세계 유비퀴놀 독점사인 가네카사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들이라는 점을 감안해야 합니다. 

 

산업적인 측면에서 고려

유비퀴놀을 우리나라에서 제조해서 판매할 때는 기능성원료로 인정받은 제2013-12호 (‘13.06.05) 원료를 이용해야 상품명에 유비퀴놀 표기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개별인정 유비퀴놀은 우리나라에서 생리활성기능 3등급을 받았기 때문에 “인체적용시험이 미흡함”이라는 문구를 넣어야 합니다. 반면, 유비퀴논은 생리활성기능 2등급이기 때문에 유비퀴놀 제조판매는 우리나라에서 시장성이 없습니다. 

 

만약 우리나라 독점사 원료가 아닌 전세계적으로 가장 유명한 카네카사 원료를 사용하여 제품을 개발할 경우에는 아이러니하게도 유비퀴놀이라고 표기할 수 없습니다. 즉, 유비퀴놀 원료를 사용하지만 우리나라에서 개별인정을 받은 원료가 아니기 때문에 코엔자임Q10이라고 표기할 수 밖에 없습니다. 

 

보관도 쉽지 않습니다. 유비퀴놀은 환원형이기 떄문에 쉽게 산화되어 보관과 배송이 유비퀴논보다 어렵습니다. 또 30도 이하에서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고온다습한 여름철에 보관비용이 많이 듭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유비퀴놀이 없고 일본에서만 판매되는 이유입니다. (우리나라가 못 만들어서가 아닙니다.)

 

주요 참고문헌

1. Pravst I, Rodríguez Aguilera JC, Cortes Rodriguez AB, et al. Comparative Bioavailability of Different Coenzyme Q10 Formulations in Healthy Elderly Individuals. Nutrients. 2020;12(3).

2. López-Lluch G, del Pozo-Cruz J, Sánchez-Cuesta A, Cortés-Rodríguez AB, Navas P. Bioavailability of coenzyme Q10 supplements depends on carrier lipids and solubilization. Nutrition. 2019;57:133-140.

3. Mantle D, Dybring A. Bioavailability of coenzyme Q10: An overview of the absorption process and subsequent metabolism. Antioxidants. 2020;9(5):386.

 

728x90
반응형